강아지 산책 예절과 스트레스 관리법 '안시키면?, 언제부터'
강아지 = 반려견 그리고 요즘은 반려견으로 불리고 있습니다. 이런 강아지는 산책이 굉장히 중요합니다. 그래서 강아지 산책에 대한 중요성과 함께 어떻게 시켜야 하고 언제 시켜야 하고 안시키면 어떻게 되는지 등 하나하나 설명드리겠습니다.
우선 강아지에게 산책은 단순한 운동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 산책을 통해 반려견은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안정, 사회성을 고루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. 규칙적 산책을 하게 될 때 심혈관 건강증진ㄴ과 비만을 예방, 근육과 뼈, 관절을 튼튼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.
또한 다양한 냄새와 소리, 환경을 경험하면서 강아지는 정신적 자극을 받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. 산책 중에 다른 동물 또는 사람을 만나게 되면서 사회성을 기르고, 문제행동(과도한 짖음, 물어뜯기 등) 역시 예방할 수 있습니다.
강아지 산책, 언제부터 시작해야 하나?
반려견의 첫 산책 시기는 정말 중요합니다. 그래서 전문가들도 생후 3 ~ 4개월, 즉 필수 예방접종이 모두 끝나고 난 후 2주 정도 후부터 산책을 시작하는 것이 안전하다 권장하고 있습니다. 특히 이 시기에 강아지의 사회성이 형성되는 결정적 시기이기 때문입니다.
그래서 다양한 환경과 자극을 경험해야 올바른 사회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. 예방접종이 끝나기 전 감염 위험이 있다는 것 때문에 외부견과의 접촉은 피해주셔야 하고, 보호자가 안고 바깥 구경을 시킨다던지 짧은 시간만 산책 하는 것을 추천 합니다.
강아지 산책을 안 시키면 어떻게 될까요?
강아지도 사람과 똑같습니다. 밖에 나가야 하는 사람도 나가지 못하게 하고 집에만 있도록 하면 스트레스 지수가 올라가고 건강에도 굉장히 나빠지게 됩니다. 강아지 역시 산책을 안시키면 신체적.정신적 문제가 생길 수 있게 됩니다.
- 비만 및 신체 건강 문제: 운동 부족은 비만, 근육량 감소, 관절염, 벼 손실, 균형감각 저하 등의 다양한 건강 문제를 유발하게 됩니다.
- 정신적 문제: 에너지 발산이 부족해서 스트레스가 쌓이고, 우울증, 불안, 파괴적인 행동(가구 물어뜯기, 과도한 짖음 등), 분리불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- 사회성 결여: 다른 동물이나 사람에 대한 두려움, 공격성, 소통 문제 등의 사회성 부족으로 인하여 문제행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.
강아지 산책 예절 10가지는?
- 리드줄(목줄/하네스) 착용은 필수 입니다. 공공장소에서 꼭 2m 이내 리드줄을 착용해야 합니다. 그래야 갑작스런 돌발 상황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.
- 배변봉투 지참 및 배설물 즉시 수거해야 합니다. 강아지의 배설물은 무조건 치워야 합니다. 미수거 시에는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- 지면온도를 체크하세요. 여름철에 뜨거운 아스팔트, 겨울철의 염화칼슘 등으로부터 발바닥을 꼭 보호해야 합니다. 필요시에는 신발 착용도 고려하세요.
- 바닥 음식물을 주의하세요. 길에 떨어져 있는 음식물 또는 이물질을 먹지 않게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도 정말 중요합니다.
- 자동 리드줄 대신에 고정형 리드줄 사용하세요. 자동 리드줄은 위험상황에서 제어가 어려워요. 특히 도심이나 사람이 많은 곳은 특히나 위험합니다.
- 다른 사람.동물들과의 거리를 유지하세요. 다른 반려견 또는 사람과 마주칠 때는 줄을 짧게 잡고, 흥분을 가라앉혀서 안전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.
- 기본 명령어 훈련을 해야 합니다. '앉아', '기다려', '이리와' 등의 기본적인 명령어를 익혀서 산책중 제어가 가능하게 해야 합니다.
- 공공장소에서 강아지 풀어놓지 않아야합니다. 공원, 산책로 등의 공공장소에서는 절대 강아지를 풀어놓지 않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예의 입니다.
- 산책 중 간식, 물 챙겨주어야 합니다. 더운 날씨나 장시간 산책 할 때 물과 간식, 응급처치 용품을 꼭 챙겨 주어야 합니다.
- 주변 사람 배려해주세요. 행인에게 갑자기 달려들거나 짖지 않게 주의해야 하고 강아지를 만지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꼭 동의를 구해야 합니다.
강아지 스트레스 관리법은?
- 충분한 산책과 운동을 시키기: 하루 30분 ~ 1시간 이상 규칙적으로 산책시키고, 다양한 경로와 환경을 경험하게 해주세요.
- 노즈워크, 장난감 놀이: 후각 자극놀이(노즈워크)나 터그놀이, 지능형 장난감 등으로 두뇌 자극과 에너지 발산을 도와줍니다.
- 보호자와의 교감: 매일 일정 시간 함께 놀아주면서 칭찬과 간식 보상, 마사지를 통해서 신뢰와 유대감을 쌓아주세요.
- 안정적인 생활 패턴 유지: 식사, 산책, 놀이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해서 강아지가 예측 가능한 환경에서 안정감을 느끼게 합니다.
- 평안한 휴식 공간 제공: 강아지가 혼자 쉴수 있게 하우스나 방석을 마련해 주세요.
- 음악과 아로마 활용: 클래식 음악 또는 자연소리, 안전한 아로마(라벤더, 캐모마일 등)은 긴장 완화에 큰 도움이 됩니다.
- 사회화 훈련: 다양한 환경과 동물, 사람을 경험하게 하여 스트레스를 줄이고 사회성을 높여 주는 방버도 있습니다.
- 일광욕과 바깥 구경: 베란다, 테라스 등에서 햇볕을 쬐면서 바깥 구경을 하는 것도 스트레스 해소에 굉장히 효과적입니다.
댓글
댓글 쓰기